영상의 전환과 특수효과
영상의 전환
▪ 가장 기본적인 영상효과는 두개의 영상간의 화면전환 기능
▪ Fade기능은 영상 A로부터 영상 B로 서서히 전환하는 과정으로 간단한 승산기와 가산기를 이용하여 이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산의 대상이 되는 영상 A와 영상 B의 데이터가 정확하게 동기화 되어야 함
비디오의 처리
컷(cut)
▪ 믹서가 수직 공백 구간 동안 단순히 입력 A에서 입력 B로 바꾸는 전환
▪ 따라서 두 입력을 결합한 프레임을 갖지 않음
페이드(fade)
▪ 하나의 입력으로 부터 변치 않는 배경으로 가는 전환
▪ 배경은 대개 흑색이며 입력의 기여가 점차 줄여져 배경으로 대치됨
디졸브(dissolve 또는 cross-fade)
▪ 출력이 두 입력의 가중합으로 이루어 지는 전환
▪ A의 기여가 점차 줄어지는 반면 B의 기여는 증가함
와이프(wipe)
▪ B가 나타나도록 A가 사라지는 전환
▪ 단순한 와이프는 돌돌 마는 작동과 유사하며, 보다 복잡한 예로는 책의 페이지를넘기는 것과 같이 한 입력이 넘겨지면서 다른 입력이 나타나게 됨
텀블(tumble)
▪ A를 덮어 씌우기 위해 B를 내던지는 전환
▪ 예를 들면 B의 축소판이 A의 오른쪽 위 모서리에 있다가 회전하고 확대되면서 화면을 채우게 됨
래핑(wrapping)
▪ 하나의 입력이 구나 입방체와 같은 단순한 3차원 물체를 감싸는 효과
▪ 그 결과는 텍스처 매핑과 유사하지만 이 경우 텍스처는 25 fps 또는 30 fps 비디오프레임이 됨
특수 효과
▪ 영상 장치가 디지털화 하면서 과거 아날로그 장치로는 불가능하였던 영상효과가 이제는 실현될 수 있게 되었다.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구의 표면에 붙이거나 책의 페이지를 넘기는 것과 같이 영상이 바뀌는 등 다양한 영상효과가 이용되고 있음
▪ 이러한 영상효과를 실현하는 장치를 영상 특수효과 장치라고 하며, 영상의 확대/축소, 위치의 이동과 변형 등 기하적인 처리를 요하기 때문에 기하적 변형장치라 부르기도 함
디지털 영상합성 - 크로마키 합성
▪ TV가 흑백에서 컬러로 바뀌면서 영상중의 색 차이를 검출하여 마스크에 해당하는 키 화상(Key Image)을 생성하고, 합성하는 장치가 폭넓게 사용되게 되었는데, 이것을 크로마키합성이라고 하며 영상을 합성하는 장치의 대명사로 인식될 정도로 폭넓게 사용
▪ 크로마키 합성은 마스크 화상의 생성과 합성이 실시간으로 처리되고, 영상을 촬영한 장소에서 즉시 합성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
▪ 영상으로서 필요한 전경과 불필요한 배경을 색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크로마키와 청색으로 착색한 일정한 배경세트가 필요
'멀티미디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멀티미디어] 6장 비디오 처리 : 비디오 스트리밍 (1) | 2023.11.14 |
---|---|
[멀티미디어] 6장 비디오 처리 : 비디오의 압축/복원 (0) | 2023.11.13 |
[멀티미디어] 6장 비디오 처리 : 비디오 처리 하드웨어 (0) | 2023.11.13 |
[멀티미디어] 6장 비디오 처리 : 비디오의 개요 (0) | 2023.11.13 |
[멀티미디어] 5장 애니메이션 : 애니메이션의 활용 & 저작도구 (0) | 2023.11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