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멀티미디어

[멀티미디어] 6장 비디오 처리 : 비디오의 개요

by 의문의 효몽 2023. 11. 13.

 

아날로그 비디오와 디지털 비디오

영상(동화상)과 화상의 차이

    ▪ 화상: 정지된 이미지화면을 의미
    ▪ 영상: 이미지 화상들의 연속적인 집합체

        → 가장 크기가 크고 처리하기 어려운 미디어
        → 대부분의 영상처리 기술은 화상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발전

 

화면에 비디오 자료를 보여주기 위해

    ▪ 텔레비전 : 명도(Luminance)와 색상(Chrominance)를 사용
    ▪ 컴퓨터 :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RGB 세 가지색으로 표현

 

비디오의 구성요소

 

프레임(Frame) : 비디오를 구성하고 있는 이미지 하나하나를 지칭

    ▪ 비디오의 크기 = (이미지 프레임의 크기) X (초당 프레임 수)
    ▪ 컴퓨터나 TV 비디오는 초당 30프레임, 영화는 초당 24프레임이 필요

시퀀스(sequence) : 별개의 이야기 단위를 이루는 씬들의 모임을 말하며 대개 위치나 시간에 의해 연결

    ▪ 예를 들면, 강도 영화는 두목이 공모자를 모으는 모집 시퀀스, 약탈 시퀀스, 탈출 시퀀스 등으로 구성
    ▪ 시퀀서는 하위의 시퀀스를 가질 수 있음. 예를 들면, 강도 시퀀스는 진입 시퀀스, 금고털이 시퀀스 등으로 구성

 

씬(scene) : 동일한 장소에서 촬영한 여러 샷의 모임

    ▪ 동일한 장소라도 실내와 실외에서 촬영한 샷들은 다른 씬으로 간주
    ▪ 하나의 샷이 하나의 씬을 구성할 경우 1씬 1샷이라 함

 

샷(shot)
    ▪ 녹화버튼을 눌러 카메라가 작동되는 순간부터 멈추는 순간까지 한 장면이나 사물을 연속적으로 촬영한 일련의 필름
    ▪ 즉 시간적으로 중단됨이 없이 촬영된 프레임들의 집합으로 촬영의 기본단위

 

컷(cut) 
    ▪ 촬영된 샷은 편집을 위해 몇 개로 나누어 질 수도 있는데 그 나누어진 샷을 컷(cut)이라 함
    ▪ 컷은 편집의 기본단위가 됨


테이크(take) 
    ▪ 테이크는 특정 샷에 대한 각 촬영본을 말함
    ▪ 하나의 샷을 촬영시 NG가 없으면 원테이크가 되고, NG가 나면 동일 샷을 여러 번 반복하여 촬영할 것. 이때 한번 촬영되는 샷의 단위를 말함
    ▪ 예를 들어 한 개의 샷에 10개의 테이크가 있을 수 있고 편집시에는 이중 하나만 선택함

 

 

디지털 비디오
    ▪ 비디오 보드가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모니터 신호로 변환/출력

        → 비디오 편집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생성된 디지털 비디오 자료
        비디오 카메라, VTR, TV등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
    ▪ 잡음이 적고 자료의 편집 및 수정이 용이
        Premiere Pro, Windows Media와 같은 편집기 이용
    ▪ 자료의 규모가 방대하여 많은 양의 데이터
        과거 인터넷 환경에서 비디오 전송 시 많은 시간 소요

 

비디오와 애니메이션의 비교

비디오 : 실세계를 촬영한 결과

애니메이션 : 컴퓨터를 이용하여 일련의 장면을 인공적으로 생성

 

비디오의 활용

다양한 활용 사례

    ▪ 웹페이지에서 디지털 비디오 방송(웹TV)

    ▪ UCC(User Created Content) 또는 UGC

        YouTube, PandoraTV에 올려 다른 사람과 공유
    ▪ VOD(Video on Demand) 사이트
        Netflix, Fulu, Tive 등
    ▪  화상회의(Video Conferencing)

 

모바일 환경에서 비디오의 활용

    ▪ 무선인터넷 기술의 발전
        iPhone, 스마트폰의 확산
    ▪ 브로드캐스트 방식의 DMB 방송

 

IPTV의 활성화

    ▪ 방송과 통신의 구분이 없어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