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50 [멀티미디어] 6장 비디오 처리 : 비디오 스트리밍 스트리밍(Streaming)의 개념 사운드 또는 비디오의 전송 ▪ 스트리밍이란 데이터를 수신하는 즉시 출력장치에 표시함으로써 송수신자 간의 정보 전달시간 지연을 줄이는 기법 비디오 스트리밍 소프트웨어 스트리밍 ▪ Web상에서 비디오/오디오 파일 전송과 실행을 병행 ▪ 파일 중 일정량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바로 실행 ▪ 인터넷 방송이 가능해 짐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▪ RealNetwork 사의 RealOne Player : Real Audio, Real Movie ▪ Microsoft의 Windows Media Player : ASF, WMF ▪ VDOLive, ViVoActive, TrueStream 등 멀티미디어의 동기화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시간적 동기화 (Temporal Synchronization) .. 2023. 11. 14. [멀티미디어] 6장 비디오 처리 : 비디오의 압축/복원 기본 개념 비디오 압축(Compression) 또는 부호화(Encoding) ▪ 시간적 이웃 프레임, 공간적 이웃 화소간에 매우 큰 연관성 ▪ 비디오 데이터의 중복성(Redundancy) 제거 압축 방법 구분 무손실압축(Lossless Compression) 기법 ▪ X-ray, 단층촬영(CT) 등의 의료 영상과 같은 응용분야 ▪ 원래 영상으로 완전한 복구, 압축율은 비교적 낮은 2:1 ~ 3:1 정도 손실압축(Lossy Compression) 기법 ▪ 완전 복구는 불가능 (비교적 우수한 영상), 10:1 ~ 40:1의 높은 압축율 비디오의 압축과정 비디오 압축 시 고려사항 ▪ 초당 프레임 수, 압축율에 따른 화질의 변화, 압축 및 복원 속도, ▪ 부가적인 HW / SW 소요 여부, 통신채널의 전송 속도.. 2023. 11. 13. [멀티미디어] 6장 비디오 처리 : 디지털 영상처리 영상의 전환과 특수효과 영상의 전환 ▪ 가장 기본적인 영상효과는 두개의 영상간의 화면전환 기능 ▪ Fade기능은 영상 A로부터 영상 B로 서서히 전환하는 과정으로 간단한 승산기와 가산기를 이용하여 이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연산의 대상이 되는 영상 A와 영상 B의 데이터가 정확하게 동기화 되어야 함 비디오의 처리 컷(cut) ▪ 믹서가 수직 공백 구간 동안 단순히 입력 A에서 입력 B로 바꾸는 전환 ▪ 따라서 두 입력을 결합한 프레임을 갖지 않음 페이드(fade) ▪ 하나의 입력으로 부터 변치 않는 배경으로 가는 전환 ▪ 배경은 대개 흑색이며 입력의 기여가 점차 줄여져 배경으로 대치됨 디졸브(dissolve 또는 cross-fade) ▪ 출력이 두 입력의 가중합으로 이루어 지는 전환 ▪ A의 기여가 점.. 2023. 11. 13. [멀티미디어] 6장 비디오 처리 : 비디오 처리 하드웨어 비디오 보드 비디오 보드 ▪ PC에서 비디오 영상을 처리하여 모니터 화면에 출력 비디오 오버레이(Video Overlay) 보드 ▪ 영상중첩 기술을 이용하여 컴퓨터 내부의 정보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영상정보를 합성하여 모니터에 표현. ▪ TV 수신카드 → 문자 및 그래픽 정보와 외부의 영상 정보를 동시에 제공 → 한 화면에서 텔레비전이나 비디오를 보면서 문서를 동시에 편집 가능 프레임 그래버(Frame Grabber) 보드 ▪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역할 수행 영상 압축(Compression)/복원(Decompression) 보드 ▪ 영상 정보를 압축하여 기억 장치에 저장, 필요 시 복원하여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▪ 영상편집보드, 화상회의 시스템 등 비디오 저장장치 광디스크 저장매체 C.. 2023. 11. 13. 이전 1 ··· 6 7 8 9 10 11 12 13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