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멀티미디어

[멀티미디어] 11장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: 웹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문서의 표준

by 의문의 효몽 2023. 12. 4.

기존 전자문서의 문제점과 표준

기존 전자 문서의 문제점

    ▪ 특정 응용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있어 서로 다른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서와 호환되지 않음

    ▪ 문서를 작성한 응용 프로그램의 새로운 버전이 나오면, 기존의 문서도 새로운 버전에 맞게 변환되어야 함

    ▪ 파일 형식이 시스템에 의존적이므로 서로 다른 기종의 컴퓨터 간에 파일을 주고 받을 수 없음

 

기존 전자 문서의 문제점 때문에 응용 프로그램과 시스템으로부터 독립적인 문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, 이러한 요구에 따라 ISO(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:국제 표준화 기구)에서 문서의 논리적 구조에 관한 표준인 SGML(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, ISO 8879, 1986년)표준을 제정


마크업 언어

    ▪ 절차적 마크업 (Procedural Markup)
        ▪ 일반적으로 문서의 외형을 지정해 주는 데 사용
           ex) 이 글자의 크기는 12 포인트로 하고, 글자체는 명조체를 사용

    ▪ 구조적 마크업 (Descriptive Markup)
        ▪ 문서의 외형을 하나하나 지정하지 않고, 문서의 논리적인 구조만을 기술
           ex) 책을 쓰고자 한다면 장(Chapter)의 제목, 절(Section)의 제목, 문단, 꼬리말과 같이 문장의 속성만을 지정
        ▪ 문서의 구조와 형식이 분리되며, 특정 프로그램에 종속적이지 않으므로 다른 시스템 간에도 호환이 쉬움

 

 

SGML

 

SGML 이란? 

    ▪ SGML은 문서의 논리적 구조를 기술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를 정의하기 위한 언어의 표준으로, 구조적 마크업을 생성하는 기법을 제공하며, 문서의 내용이나 구조를 정의하기 위한 언어
    ▪ SGML은 그 자체가 마크업 언어가 아니라, 마크업 언어를 정의하기 위한 메타 언어
    ▪ SGML은 처리 방법에 대한 표준이 아니라 논리적인 정보만을 제공하므로 포맷 정보를 제공하지 않음

문서의 구조

 

SGML 문서의 구조

    ▪ SGML 문서는 SGML 선언부, DTD 및 DI로 구성
    ▪ DTD(Document Type Definition) 
        ➢ 문서의 논리 구조를 정의
        (사용할 태그의 종류, 태그간의 관계, 속성을 정의) 
        ➢ 문서의 구조에 따라 정의하는 것이므로 간단한 메모나 편지에서부터논문, 책에 이르기까지 문서의 종류에 따라서 무한히 많이 만들어 낼 수 있음
    ▪ DI(Document Instance) 
        ➢ 실질적인 문서의 내용과 마크업이 들어가는 부분
        ➢ 마크업은 DTD 부분에서 정의된 형식을 따르므로, DI는 DTD에 의해 만들어진 문서라 할 수 있음

DTD와 DI

 

 

XML과 HTML5

 

XML(eXtensible Markup Language) 이란? 

    ▪ XML은 의 WWW에서 SGML을 보다 간단하고,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고안
    ▪ XML은 SGML의 기능 중 기본적인 것만을 제공하고, 불필요한 옵션을 제거
    ▪ XML에서 문서의 구조를 정의한 부분을 DTD(Data Type Definition)라 하고, 이 DTD에 따라 작성된 문서를 DI(Document Instance)라고 함
    ▪ XML의 계층구조가 DTD에 정의되어 있어 DTD만 보고도 문서구조 파악이 가능
    ▪ DTD에서 태그를 ELEMENT로 정의하며 태그의 속성은 ATTLIST로 정의


    ▪ XML의 출력양식
        ▪ XML의 실제 출력양식인 스타일시트는 XSL(XML Stylesheet Language)
        ▪ SGML에서는 DSSSL(Document Style Semantics and Specification Language)를 사용했으나 이를 간소화하여 XSL 제정
        ▪ XSL은 XML 문서의 각 요소가 어디에 배치되고 어떤 형태로 보여지는지를 지정하거나 변환하도록 작성
        ▪ XML 문서는 HTML 문서 출력을 위해 사용하는 CSS(Cascade Style Sheet)에 의해 스타일을 지정할 수도 있음
        ▪ 즉, XML은 문서의 논리적 구조 및 내용과 출력형식이 분리하는 것이 원칙
    ▪ XML의 활용
        ▪ 전자도서관, 전자출판, 전자상거래등 광범위한 응용분야에서 활용
        ▪ MathML, CML, WML, ebXML, SVG, SMIL, X3D 등

 

SGML, XML, HTML의 관계

    ▪ SGML 
        ▪ 장점 : 유연성이 크고 시스템이나 플랫폼에 독립적으로 운용
        ▪ 단점 : 복잡하여 시스템을 개발하기 어려움
    ▪ HTML
        ▪ 장점 : 사용이 편리하며, 웹 상에서 빠르게 정보를 제공
        ▪ 단점 : 고정된 태그 집합만을 사용하고, SGML처럼 복잡한 구조를 갖는 문서를 작성 할 수가 없음
    ▪ XML
        ▪ SGML에서의 복잡성을 제거하고, HTML의 고정된 태그를 벗어나 사용자가 문서 구조를 정의하여 사용할 수 있는 언어
        ▪ SGML과 HTML의 단점들을 상호 보완하여 개발한 문서 기술 언어
        ▪ XML은 SGML의 복잡한 특성을 제한하지만 웹상에서의 정보를 제공 할 수 있으며 DTD를 사용자가 정의할 수 있고 다양한 링크 유형을 제공하는 장점을 가짐
    ▪ SGML, HTML, XML의 미래
        ▪ 각각의 특성과 주력하는 응용분야에 차이가 있음
        ▪ 한가지가 다른 것들을 대체하는 형태 보다는 상호보완적 관계에서 발전해 나갈 것으로 예측

 

HTML5 

    ▪ HTML 웹브라우저는 호환성의 문제가 있고 문서나 자료의 공유가 필요한 경우 부족
    ▪ HTML5는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(RIA)을 웹 표준 기술로 사용하여 리치 사용자 인터페이스 지원
    ▪ 멀티미디어 및 그래픽스 관련 기능 강화
    ▪ 위치관련 및 오프라인 등 모바일 환경을 고려한 API 제공
    ▪ HTML5의 발전역사 (2014년 HTML5 표준 확정)